coreano
Article
August 17, 2022

La lingua coreana è la lingua ufficiale della Repubblica di Corea e della Repubblica popolare democratica di Corea ed è chiamata coreano o coreano nella Repubblica di Corea e coreano o coreano nella Repubblica popolare democratica di Corea. Sebbene la popolazione sia piccola rispetto alla Corea del Sud e alla Corea del Nord, viene utilizzata anche la prefettura autonoma della Cina di Yanbian. La lingua coreana viene utilizzata in tutto il mondo poiché i coreani vivono in varie parti del mondo come Giappone, Stati Uniti, Repubblica popolare cinese, Russia, Uzbekistan, Canada, Australia, Filippine e Vietnam a causa dell'estero migrazione. All'inizio di gennaio 2016, quasi tutta la popolazione di lingua coreana risiede nella Repubblica di Corea e nella Repubblica Democratica Popolare di Corea (RPDC), e si stima che ci siano circa 80 milioni di persone. I principali circoli accademici coreani hanno accettato principalmente l'ipotesi che appartenessero alla famiglia delle lingue altaiche, come il mongolo, il turco e il kazako. D'altra parte, ci sono studiosi che lo vedono come appartenente a una famiglia coreana indipendente che include la lingua Jeju o una lingua isolata la cui relazione con la lingua circostante non è confermata. Tuttavia, la lingua isolata è anche diversa dagli altri isolati, e non c'è motivo per stabilire se la lingua coreana debba includere la lingua Jeju come dialetto o lingua.
Diversi nomi in coreano
'Coreano' è il nome usato nella Repubblica di Corea, e nella Repubblica Democratica Popolare di Corea è chiamato lingua coreana. Il nome del dizionario creato congiuntamente dalla Repubblica di Corea e dalla Repubblica popolare democratica di Corea è "Gyeoremal Keun Dictionary". Il nome della conferenza per standardizzare l'elaborazione informatica coreana e coreana tra la Corea del Nord e quella del Sud, tenutasi dal 1994, è "Conferenza internazionale coreana sull'elaborazione informatica". In Giappone, la lingua coreana era chiamata "Chosengo (coreano)", ma recentemente la lingua parlata dai cittadini coreani si chiama "Kankokugo (coreano)". La società coreana in Giappone è divisa rispettivamente nell'Associazione del popolo coreano in Giappone e nell'Associazione coreana dei residenti coreani in Giappone e si tende a sostenere rispettivamente la lingua standard e la lingua culturale. ', si chiamava 'Hanguru Koza' (ハングル講座) in giapponese. Inoltre, considerando la neutralità, “Kankoku・Josengo (giapponese: kankoku・ちょうせん語)”, “Koreago” (giapponese: coreano, coreano) o “Karano Kuni no Kotoba” (giapponese: kara) uso nomi come nokuni no koto), ma non li uso spesso. 'Korea Go (coreano)' è utilizzato da alcune università dopo che la Jochi University ha aperto il suo primo dipartimento principale nel 1977. La Repubblica popolare cinese chiama coreano la lingua parlata nella Repubblica popolare democratica di Corea, ma la lingua parlata nella Repubblica di Corea si chiama coreano. In precedenza, la Repubblica popolare cinese chiamava la lingua coreana "Cháoxiǎnyǔ" a causa della sua stretta relazione con la Repubblica popolare democratica di Corea. Tra questi, è usato come nome come "Hánguóyǔ" (Pinyin: Hánguóyǔ) o "Hanyu ( Pinyin: Hányǔ)'. A livello accademico, viene utilizzato molto vocabolario relativo alle lingue culturali, ma in quasi tutti i dipartimenti coreani in Cina, tra cui l'Università di Pechino, l'Università straniera di Pechino e l'Università di studi stranieri di Shanghai, il nome del dipartimento è in coreano, che significa il lingua utilizzata nella Repubblica Democratica Popolare di Corea e il contenuto delle lezioni è pari o superiore al 99,9% secondo gli standard di Seoul, Corea. Repubblica di Cina (Taiwan)Titoli di articoli correlati
한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공용어
옌볜 조선족 자치주
IPA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한민족
한글
한자
한글 점자
라틴 문자
언어 계통
알타이어족
고립어
한국어족
한국조어
고대 한국어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중세 한국어
고려어
조선어
근대 한국어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옌벤
러시아
사할린
연해주
국립국어원
ISO 639-1
ISO 639-2
ISO 639-3
현대 한국어
제주어
중세 한국어
고대 한국어
한국조어
소비에트 연방
이오시프 스탈린
일본
미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베트남
한민족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알타이어족
몽골어
터키어
카자흐어
알타이어족
고립어
제주어
한국어족
한국어의 호칭 문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표준어
문화어
NHK
일본어
일본어
일본어
1977년
조치 대학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어
병음
1992년
대한민국
중국어
병음
중국어
병음
북경대
북경외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민국
타이완
중국어
병음
중국어
병음
한자
베트남어
베트남어
베트남어
베트남어
베트남어 위키백과
베트남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한국어의 계통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알타이어족
일본어
한자
지명학
퉁구스어족
고시베리아제어
이기문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
크리스토퍼 벡위스
부여어족
알타이 제어
몽골어
퉁구스어
터키어
알타이 제어
알타이 제어
모음 조화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모음 조화
교착어
S-O-V 어순
마르티너 로베이츠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튀르크어족
알타이어족
고립어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타 대학교
마르티너 로베이츠
유네스코
제주어
한국어족
조몬시대
도래인
크리스토퍼 벡위스
고구려어
부여어족
알렉산더 보빈
일본어족
김방한
니브히어
유하 얀후넨
산스크리트어
드라비다어족
한국어 음운론
대한민국 표준어
모음
전설 비원순 저모음
중설 근저모음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
후설 원순 중고모음
후설 원순 고모음
후설 비원순 고모음
전설 비원순 고모음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전설 원순 중고모음
전설 원순 고모음
문화어
양순
치경
치경구개
권설
경구개
연구개
성문
비음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탄음
접근음
설측음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평음
경음
격음
파찰음
평음
경음
격음
마찰음
평음
경음
비음
유음
음가가 없어진다
평음
경음
격음
한국어 문법
어근
접사
교착어
조사
고립어
SOV형
어미
용언
동사
형용사
한국어의 고유어
한국어의 한자어
한국어의 외래어
어휘
한자어
외래어
알타이 제어
산스크리트어
몽골어
차용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한글
이두
향찰
구결
임신서기석
고립어
한자
교착어
이두
구결
향찰
한글
세종대왕
훈민정음
1446년
정인지
훈민정음
국한문혼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옌볜 조선족 자치주
구 소련
로마자
두문자어
한국어의 방언
잠자리
한국어의 방언
경기 방언
영동 방언
서북 방언
충청 방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동북 방언
재미 한국어
재중 한국어
재일 한국어
문화어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두음 법칙
대한민국
미국
일본
중국
프랑스
폴란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한류
미국
일본어
중국어
아랍어
한국어능력시험
국어능력인증시험
KBS 한국어능력시험
한국어능력시험
세계한국말인증시험
대학 입시 센터 시험
2002년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조어 목록
웹
2004년
대한민국
미국
SAT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옌볜 조선족 자치주
러시아
터키
아제르바이잔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
한국어능력시험
에스놀로그
Ramstedt, Gustaf John
ISBN
Ramstedt, Gustaf John
ISBN
ISBN
박경리
ISBN
doi
웨이백 머신
디지털타임스
국제 연합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SOV형
한글
한글날
훈민정음
한국어 순화
한국어의 품사
발음하기 힘든 한국어 문장
긴 한국어 낱말
한국어 사전
한글
한글날
훈민정음
한국어 위키백과
한자
한자어
한자 문화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