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smissione culturale
Article
February 3, 2023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MBC) è un'emittente terrestre con un pubblico in Corea. Ha aperto come stazione radiofonica nel 1961 e ha iniziato a trasmettere in TV nel 1969.
Storia
Fondazione e Radio Era
La prima ad essere costituita tra le società affiliate a Culture Broadcasting è stata Busan Culture Broadcasting, la prima trasmissione radiofonica commerciale in Corea, fondata nel 1959 da Ji-tae Kim. L'attuale Busan Munhwa Broadcasting utilizza il nome "Culture Broadcasting" dal momento della sua apertura al 1965. Kim Ji-tae ha fondato la società a Seoul con il nome commerciale di Seoul Civil Broadcasting Corporation nel gennaio 1961, quindi ha cambiato il nome in Korea Broadcasting Corporation (HBC) a marzo. Il reclutamento di doppiatori, giornalisti e annunciatori per la prima stagione è stato fatto il 7 giugno, il periodo delle trasmissioni coreane. A luglio, il nome è stato cambiato in Radio Seoul e in ottobre è stato cambiato in Korean Culture Broadcasting. A novembre è stata lanciata la radio di prova delle trasmissioni radiofoniche ea dicembre è stata aperta la stazione radiofonica MBC. Tuttavia, dopo il colpo di stato militare del 5·16, Kim Ji-tae fu catturato come un accumulatore di ricchezze e nel 1962 donò tutte le sue fortune come Korea Culture Broadcasting, Busan Cultural Broadcasting e Busan Ilbo alla Scholarship Association del 16 maggio. Dopo aver ottenuto il permesso di aprire filiali nelle principali città come Daegu, Gwangju, Daejeon e Jeonju, l'azienda ha iniziato a concentrarsi sull'espansione della rete. L'8 agosto 1963, la filiale di Daegu di trasmissione culturale (attualmente Daegu Cultural Broadcasting) e la filiale di Jeonju di Jeonju (attualmente Jeonju Cultural Broadcasting) nel 1965 hanno lanciato le loro prime onde radio, formando una rete che collega le sei principali città del paese. Poi dal 1968 al 1969, Ulsan Civil Broadcasting (attualmente Ulsan Cultural Broadcasting), Jinju Civil Broadcasting (attualmente MBC Gyeongnam Jinju Broadcasting), Yeongdong Broadcasting (attualmente MBC Gangwon Yeongdong Gangneung Broadcasting Station), Gangwon Broadcasting (attualmente Chuncheon Cultural Broadcasting) e radio Sono apparse sette emittenti private come Mokpo (attualmente Mokpo Cultural Broadcasting), Namyang Broadcasting (attualmente Jeju Cultural Broadcasting) e Gyeongnam Broadcasting (attualmente MBC Gyeongnam Changwon Broadcasting) e formando alleanze di rete con Cultural Broadcasting, ci sono un totale di 13 dirette emittenti governative nella rete nazionale.In alternativa, sono stati coinvolti i paesi membri.Nel 1966 è stata introdotta la "Nuova teoria radiofonica" con l'obiettivo di approfondire e sviluppare la qualità della radio. Di conseguenza, per la prima volta nella storia della radiodiffusione coreana è stata condotta la trasmissione di informazioni sulla vita e sono stati istituiti il Comitato di deliberazione del programma di radiodiffusione e il Comitato consultivo per le trasmissioni rurali, che sono istituzioni di revisione autonome. L'azienda si espanse e l'ufficio di Jeong-dong fu costruito nel febbraio 1968 e il 31 dicembre dello stesso anno fu trasmesso con successo in TV.Era della televisione in bianco e nero (1969-1980)
10 marzo 1969 - Istituzione della "Pubblicità della Federazione della Corea". 4 luglio 1969 - Prodotto da Jeong Tak-young, che ha ideato un modulo prima del lancio della TV (mbc inglese inferiore). 1 agosto 1969 - Completato l'edificio per uffici di Jeongdong (attualmente l'edificio per uffici di Kyunghyang Shinmun). 8 agosto 1969 - 10:00 inizia MBC TV (indicativo di chiamata HLAC-TV, potenza 2 kW). 5 ottobre 1970 - Il principale programma di notizie di MBC, MBC News Desk, inizia a trasmettere (al momento della prima trasmissione, erano le 22:00) inizia a 30 minuti). 11 maggio 1971 - Associato con Fuji TV in Giappone. 16 maggio 1971 - Inaugurato come primo annesso a Kawada-cho, Fuji TV, Tokyo Branch of MBC. 19 settembre 1971 - Inizio delle trasmissioni FM MBC (codice di chiamata HLKV-FM, frequenza 91,9 MHz). 29 settembre 1971 - Accordo di rete firmato con 20 società locali di radiazioni civili. 1 ottobre 1971 - Modificato il nome della stazione di trasmissione affiliata MBC per indicare la trasmissione culturale dopo il nome della città in cui si trova (eccetto Jeju Namyang Cultural Broadcasting Corporation (attualmente Jeju MBC)). 20 ottobre 1971 - Collabora con Taiwan TTV. 10 dicembre 1971 - Associato alla CBS negli Stati Uniti. 28 febbraio 1972 - Fondata Cultural Tourism Co., Ltd. 15 aprile 1972 - Cambiamento dell'identificativo di chiamata TV da HLAC-TV a HLKV-TV. Luglio 1972 - Trasmissione televisiva, si formano 7 reti. 3 dicembre 1973 - Le trasmissioni nei giorni feriali e del sabato mattina furono sospese a causa dello shock petrolifero (oil shock). (7 anni e 6 mesi fino al 24 maggio 1981)Titoli di articoli correlati
문화방송 (동음이의)
MBC (동음이의)
영어
대한민국
지상파 방송사
준공영 방송
1961년
2월 21일
1961년
12월 2일
AM
1969년
8월 8일
TV
1971년
9월 19일
FM4U
1987년
12월 15일
표준FM
코스닥
한국
방송문화진흥회
재단법인
정수장학회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암로
상암동
박성제
지니 TV
B TV
U+ TV
김지태
부산문화방송
1965년
5·16 군사 정변
1961년
12월 2일
MBC AM
대구지국(現 대구문화방송)
전주지국(現 전주문화방송)
울산민간방송(現 울산문화방송)
진주민간방송(現 MBC경남 진주방송)
영동방송(現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강원방송(現 춘천문화방송)
라디오목포(現 목포문화방송)
남양방송(現 제주문화방송)
경남방송(現 MBC경남 창원방송)
1969년
8월 8일
1969년
MBC TV
후지 TV
TTV
CBS
MBC FM
새엄마
신부일기
수선화
후회합니다
KBS
TBC
박정희
경향신문
경향신문
언론통폐합
신아일보
정수장학회
쌍용화재
현대
MBC 대학가요제
MBC 강변가요제
여의도 스튜디오
1981년
1월 1일
1981년
4월 1일
1981년
5월 25일
1981년
12월 2일
1982년
1월 26일
MBC 청룡
1982년
3월 17일
여의도 스튜디오 사옥
1982년
3월 18일
1982년
4월 2일
1982년
9월 4일
1983년
4월 20일
1983년
1월 4일
1983년
4월 30일
MBC 창작동요제
1983년
10월 1일
전설따라 삼천리
1984년
9월 20일
경기도
양주시
1984년
12월 1일
KTA(한국전기통신공사, 현 주식회사 KT)
1985년
5월 1일
여의도동 사옥
1985년
10월 10일
1986년
1월 1일
홍익대학교
1986년
4월 19일
관악산
1986년
4월 29일
1986년
5월 30일
1987년
5월
1987년
12월 9일
노동조합
1987년
12월 15일
관악산
1988년
7월 1일
1988년
9월 17일
10월 2일
88 서울 올림픽
KBS
1988년
12월 31일
1988년
12월 26일
방송문화진흥회
한국방송공사
1989년
12월 14일
MBC 청룡
LG그룹
LG 트윈스
1990년
4월 1일
1990년
7월 2일
1990년
10월 15일
전두환
신군부
한국방송공사
SBS
방송문화진흥회
채널 4
정수장학회
1991년
2000년
1991년
4월 22일
MBC C&I
1991년
6월 1일
1991년
7월 11일
1991년
9월 9일
1991년
12월 17일
1992년
6월 2일
ABC
1992년
6월 3일
1992년
7월 1일
1993년
1월 12일
1993년
3월 17일
강성구
1993년
3월 22일
1993년
4월 10일
1993년
7월 22일
1993년
10월 11일
MBC 뉴스데스크
1994년
4월 25일
일산신사옥
1994년
6월 18일
1994년
10월 1일
1995년
2월 1일
1995년
3월 6일
1995년
4월 1일
음악FM
1995년
10월 1일
1995년
11월 13일
1995년
12월 9일
1996년
3월 1일
1996년
5월 31일
2002년 월드컵
1996년
9월
1996년
10월
유럽
파리
런던
본
1996년
11월
헬리콥터
1997년
3월
일산제작센터
1997년
3월 10일
1997년
7월 2일
1997년
8월 1일
양주
1997년
9월
1998년
4월 10일
1998년
5월 1일
1999년
3월 9일
노성대
1999년
5월 11일
만민중앙교회
1999년
6월 10일
1999년
12월 30일
2000년
3월 11일
인터넷
2000년
4월 10일
2000년
7월 7일
2000년
9월 1일
2001년
2010년
2001년
2월 21일
2001년
3월 9일
김중배
2001년
4월 11일
일본
FM후쿠오카
2001년
4월 14일
2001년
9월 10일
2001년
MBC FM4U
2001년
12월
2001년
12월 2일
2002년
5월 30일
2002년
8월 24일
CCTV
2003년
3월
이긍희
2003년
12월
일산제작센터
2004년
7월 3일
2004년
9월
2004년
12월
PD수첩
다큐멘터리
드라마 부문
일요일 일요일 밤에
2004년
12월
대장금
2004년
12월
DMB
2005년
EBS
교육
2005년
1월
최문순
2005년
1월 3일
2005년
1월
2005년
1월 21일
코스닥
2005년
2월
2005년
6월
일본
중국
2005년
9월
윤리
SK텔레콤
2005년
10월
2005년
12월
MBC DMB
2005년
12월 1일
평일
2005년
12월 5일
MBC 정오뉴스
MBC 뉴스현장
2005년
12월
2006년
4월
2006년
4월
2006년
4월
금강산
2006년
4월
아시아나항공
2006년
6월
2006년
6월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2006년
9월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
2006년
9월 30일
MBC 대학가요제
2006년
11월
2007년
5월 5일
MBC 창작동요제
2007년
6월 1일
2007년
11월 30일
MBC일산드림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2007년
12월 1일
키자니아
2008년
2월 29일
엄기영
MBC 뉴스데스크
2010년
9월 25일
2008년
12월 31일
2009년
2010년
1월 1일
웅진씽크빅
2010년
2월 26일
청주MBC
김재철
2010년
2월 27일
2010년
5월 5일
MBC 창작동요제
2010년
6월 18일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2010년
6월 30일
MBC 스포츠
2010년
8월 1일
MBC 스포츠플러스
2010년
9월 1일
MBC경인지사
2010년
10월 5일
MBC 뉴스데스크
2010년
11월 6일
MBC 뉴스데스크
2011년
2011년
1월 3일
2011년
9월 1일
창원문화방송
진주문화방송
MBC경남
2012년
11월 5일
MBC 뉴스데스크
2012년
12월 31일
2013년
1월 1일
2013년
3월 26일
2013년
3월 27일
2013년
4월 28일
리듬체조
손연재
2013년
7월
MBC신사옥
2013년
10월 16일
2014년
2월 25일
2014년
8월 3일
여의도 사옥
2014년
8월 4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신사옥
MBC 뉴스투데이
MBC 이브닝뉴스
MBC 뉴스데스크
MBC 뉴스 24
2014년
9월 1일
여의도 사옥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신사옥
2014년
9월 2일
2015년
1월 1일
강릉문화방송
삼척문화방송
MBC강원영동
2015년
12월 2일
2016년
4월 3일
해피타임
2016년
4월 8일
2016년
10월 1일
청주문화방송
충주문화방송
MBC충북
2016년
12월 19일
MBC FM4U
2017년
2월 24일
2017년
2월 28일
2017년
5월 31일
2017년
9월 4일
2017년
11월 13일
2017년
11월 13일
2017년
11월 14일
2017년
11월 15일
2017년
11월 15일
2017년
11월 25일
2017년
12월 7일
2017년
12월 8일
2018년
6월 2일
2019년
3월 5일
여의도 사옥
2019년
3월 18일
MBC 뉴스데스크
2020년
3월 25일
MBC 뉴스데스크
2020년
2월 25일
박성제
2020년
6월 29일
MBC 뉴스데스크
2020년
9월 14일
MBC 뉴스데스크
2021년
6월 21일
MBC 뉴스데스크
2021년
6월 27일
MBC 뉴스데스크
박목월
손석우
1980년
언론통폐합
문화방송에 대한 비판
MBC TV
MBC 표준FM
MBC FM4U
MBC DMB
MY MBC
1961년
12월 2일
1969년
8월 7일
종로구
인사동
1969년
8월 8일
1982년
3월 16일
중구
정동
경향신문
1982년
3월 17일
2014년
8월 3일
영등포구
여의동
1997년
경기도
양주시
2000년
2007년
11월 30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일산 드림센터
2013년
7월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 미디어 시티
2014년
8월 4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사옥
상암 사옥 (본사)
2010년
6월 18일
2014년 8월
일산 MBC 드림센터 사옥
일산드림센터
2004년
9월
2007년
7월
김지태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
부일장학회
고원증
법무부 장관
황용주
정수장학회
한국기원
국제신문
부산문화방송
이환의
경향신문
임택근
한국방송공사
이진희
서울신문
문화공보부
이웅희
문화부
황선필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김영수
연합광고사장
최창봉
대한방송
강성구
이득렬
노성대
김중배
한국일보
한겨레신문
동아일보
이긍희
최문순
18대 국회의원
강원도지사
엄기영
김재철
청주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안광한
김종국
MBC경남
대전문화방송
김장겸
최승호
박성제
유재용
박성제
박장호
2004년
방송문화진흥회
정수장학회
방송법
일산드림센터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사옥
경향신문
도쿄
베이징
워싱턴 D.C.
MBC 플러스
MBC C&I
iMBC
경향신문
춘천문화방송
원주문화방송
MBC강원영동
강릉방송국
삼척방송국
대전문화방송
MBC충북
청주방송국
충주방송국
대구문화방송
안동문화방송
포항문화방송
부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
창원방송
진주방송
전주문화방송
광주문화방송
목포문화방송
여수문화방송
제주문화방송
1961년
1969년
1969년
1975년
1975년
1979년
1979년
1981년
1981년
1987년
1987년
2004년
12월 31일
2005년
2010년
12월 31일
2011년
1969년
1979년
1980년
1983년
1980년
1991년
1990년
2004년
1991년
1996년
1995년
1997년
2005년
1993년
2004년
2005년
2005년
2006년
2006년
2018년
2008년
2008년
2013년
요조
2009년
2011년
2013년
성시경
정엽
박명수
정준하
박명수
정준하
김경호
김연우
2013년
타이거JK
윤미래
2018년
6월 2일
2020년
12월 31일
윤종신
2021년
4월 6일
11월 30일
2021년
MBC 새로움체
1986년
2005년
2005년
2008년
2015년
1971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문화방송의 아나운서 목록
Channel 4
ZDF
SBS
한국방송공사
아폴로 11호
웃으면 복이와요
1983년
여의도
1977년
백종문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경향신문
상암 MBC 사옥
여의도 문화방송 사옥
위키미디어 공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