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jong dell'Impero coreano
Article
February 2, 2023

Gojong (8 settembre 1852 - 21 gennaio 1919) è stato il primo imperatore dell'Impero coreano (regnò: 12 ottobre 1897 - 19 luglio 1907).
Panoramica
Gojong era il 26° re di Joseon (regnò: 21 gennaio 1864 (13 dicembre 1863 calendario lunare) - 12 ottobre 1897) come reggente di Heungseon Daewongun e iniziò il proprio governo nel 1873. Il porto fu aperto con il Trattato di Ganghwa nel 1875 e furono lanciati movimenti di riforma e riforma politica interna, ma il paese era nel caos a causa della guerra di Imo e del colpo di stato di Gapsin. Nel 1894 scoppiò la guerra sino-giapponese con il movimento contadino Donghak come un'opportunità, e quando il Giappone, che vinse la guerra, causò l'incidente di Eulmi che assassinò l'imperatrice Myeongseong, la legazione russa fu demolita. L'anno successivo, tornò al Palazzo Deoksugung nel 1897, proclamò l'istituzione dell'Impero coreano il 12 ottobre, fissò l'era come Gwangmu e salì al trono come primo imperatore. L'imperatore Gojong realizzò la riforma Gwangmu, istituì un nuovo esercito di stile, inviò Lee Beom-yun come manager di Gando, promosse il commercio e l'industria moderni, fondò fabbriche, banche e società, costruì centrali elettriche, accese luci, aprì telefoni e ha aperto le ferrovie, ha guidato il treno. Inoltre, sono state attuate riforme moderne, come la distribuzione di nuova istruzione, l'invio di studenti all'estero, lo svolgimento di indagini agrarie in tutto il paese, l'obbligo di tutti i funzionari di indossare abiti e il ripristino dell'ordine di esilio. Tuttavia, il Giappone, vittorioso nella guerra russo-giapponese, firmò il Trattato di Eulsa nel 1905 e privò l'impero coreano dei diritti diplomatici. Subito dopo, l'esercito dell'Impero coreano fu sciolto e l'Impero coreano fu finalmente rovesciato dal Trattato di annessione Corea-Giappone del 1910 e assorbito nell'Impero giapponese. Durante l'occupazione giapponese, il re Gojong fu declassato a re Lee Tae, rimase nel palazzo Deoksugung e cercò di ripristinare la sovranità nazionale istituendo società segrete come l'Esercito per l'indipendenza della Corea. Il 21 gennaio 1919, Gojong bevve il sikhye e improvvisamente morì con gravi convulsioni, i suoi denti erano tutti spariti, la sua lingua era consumata e il suo corpo era gonfio. Di conseguenza, le voci sull'avvelenamento di Gojong si sono diffuse e il movimento del 1 marzo è scoppiato in tutto il paese dopo il funerale di re Gojong il 1 marzo. L'11 aprile è stato istituito a Shanghai il governo provvisorio della Repubblica di Corea e il nome nazionale era "Daehan", fatto da re Gojong, e il Taegeukgi disegnato da re Gojong è stato scelto come bandiera nazionale. Il governo provvisorio della Repubblica di Corea ha stabilito nella Costituzione provvisoria che la Repubblica di Corea ha ereditato il territorio dell'Impero coreano e ha dato la preferenza all'ex famiglia imperiale.Vita
Nascita e ascendenza
Nacque l'8 settembre 1852 (il 3° anno del re Cheoljong), nella residenza privata di Unhyeongung ad Angukbang, Hanseongbu, secondo figlio di Heungseon-gun Lee Ha-eung e di sua moglie Yeoheung-min. Hui è Hui (㷩), il suo nome è Jaehwang (載晃), il suo secondo nome è Myeongbok (命福) e il suo nome è Myungbu (明夫). Durante il suo regno, i nomi dell'era erano Gaeguk, Konyang e Gwangmu. Suo padre Heungseon-gun era il quarto figlio di Nam Yeon-gun e Nam Yeon-gun era originariamente il discendente di sesta generazione di Inpyeong Daegun, il terzo figlio di Injo, ma fu arruolato come figlio adottivo del terzo figlio del principe Sado, Eun Shin-gun. Di conseguenza, Namyeongun divenne il pronipote legale di Yeongjo e divenne Sunjo e Donghangryeol, suo padre Heungseondaewongun divenne Ikjong e Donghangryeol e Gojong divenne Heonjong e Donghangryeol. Sua madre è la moglie di un club di intrattenimento ed è la figlia di Min Chi-gu. Dopo che il re Gojong salì al trono, ricevette il servizio di sua moglie. È anche la sorella maggiore di Min Seung-ho, che in seguito si unì alla famiglia dell'imperatrice Myeongseong, la regina del re Gojong, e Min Gyeom-ho, che fu massacrata durante la ribellione di Imoh. Gojong aveva due sorelle e Lee Jae-myeon, lo stesso fratellastro della madre biologica Yeoheung Min.Titoli di articoli correlati
1852년
9월 8일
1919년
1월 21일
대한제국
황제
1897년
10월 12일
1907년
7월 19일
오얏꽃(이화문)
제1대 대한제국 황제
환구단
순종
의정대신
심순택
김병시
윤용선
조병세
이근명
조병식
박제순
이완용
민영규
조병호
내각총리대신
이완용
박제순
이완용
대조선국 대군주
총리대신
김홍집
박정양
김홍집
김병시
윤용선
제26대 조선 국왕
창덕궁
인정문
철종
순종
영의정
이경재
김병학
정원용
김병학
홍순목
이유원
이최응
서당보
홍순목
김병국
심순택
김병시
의정대신
심순택
김병시
덕수궁 이태왕
개국
건양
광무
홍릉
경기도
남양주시
조선
한성부
운현궁
일본 제국령 조선
경성부
덕수궁
함녕전
흥선대원군
여흥부대부인
명성황후
조선
국왕
1864년
1월 21일
1897년
10월 12일
흥선대원군
1873년
강화도 조약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명성황후
을미사변
아관파천
1897년
덕수궁
대한제국
광무
광무개혁
이범윤
간도
양복
단발령
러일전쟁
1905년
을사늑약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 특사 사건
순종
대한제국 군대
1910년
한일병합조약
일본 제국
일제강점기
덕수궁
대한독립의군부
1919년
3·1 운동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태극기
임시헌법
1852년
9월 8일
한성부
운현궁
흥선군
여흥 민씨
아명
개국
건양
광무
남연군
인조
인평대군
사도세자
은신군
영조
순조
익종
헌종
여흥부대부인
민치구
부대부인
명성황후
민승호
임오군란
선혜청
민겸호
이재면
이재선
정조
헌종이
철종
1863년
익평군
흥선군
신정왕후 조씨
익종
대왕대비 조씨
익종
수렴청정
대원군
흥선대원군
1868년
경복궁
근정전
흥선대원군
안동 김씨
비변사
의정부
삼군부
서원 철폐
붕당
서원을 47개소만 남기고 모두 철폐
임진왜란
명나라
만력제
만동묘
최익현
서원 철폐
양전사업
은결
사창제
군정의 문란
대전회통
육전조례
경복궁 중건
경복궁을 중건
당백전
원납전
병인박해
병인양요
강화도
천주교
동학
1866년
러시아
프랑스
신부
병인박해
제너럴 셔먼호 사건
제너럴셔먼호
대동강
평양
평안도
박규수
신미양요
1866년
병인박해
로즈 제독
강화도
문수산성
정족산성
한성근
양헌수
외규장각
관련 유물들을 약탈하였다
병인양요
남연군 분묘 도굴 사건
1868년
남연군의 묘
오페르트
남연군
신미양요
1871년
미국
제너럴 셔먼호 사건
존 로저스
초지진
덕진진
광성보
어재연
수(帥)자기
척화비
통상수교거부
1869년
1월 31일
왕정 복고
일본 제국
서계를 접수하지 않았다
1872년
1873년
왜관
1873년
정한론
사이고 다카모리
최익현
여흥 민씨
척신 정치
운요호 사건
강화도 조약
1875년
9월 20일
운요호 사건
1876년
2월 27일
강화도 조약
불평등 조약
부산
원산
인천
강화도 조약
5군영
무위영
장어영
별기군
통리기무아문
위정척사운동
1880년
수신사
일본
김홍집
황준셴
조선책략
이만손
홍재학
만인소
1882년
미국
조미수호통상조약
최혜국 대우
치외법권
임오군란
퍼시벌 로웰
익선관
1882년
별기군
임오군란
민씨 척족
명성황후
장호원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청나라
청나라
톈진
위안스카이
묄렌도르프
제물포조약
치외법권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갑신정변
1884년
12월 4일
김옥균
박영효
우정총국
명성황후
경우궁
대원군
규장각
갑신정변
1885년
러시아
영국
거문도
불법 점령
유길준
1886년
육영공원
이화학당
양력(그레고리력)
동학농민운동
전봉준
교조 신원 운동
최제우
1894년
동학농민운동
삼남 지방
5월 31일
청나라
6월 6일
아산만
톈진조약
6월 8일
일본
농민군과 화약
갑오개혁
7월 23일
흥선대원군
김홍집
갑오개혁
오토리 게이스케
교정청
신분제도
7월 25일
청일전쟁
을미사변
을미사변
청일전쟁
청나라
일본
시모노세키 조약
랴오둥반도
타이완
할양
러시아
일본
랴오둥반도를 청나라에 반환
삼국 간섭
명성황후
1895년
김홍집
미우라 고로
1895년
10월 8일
건청궁
조선
김홍집
을미개혁
건양
태양력
단발령
을미사변
단발령
을미의병
양력(그레고리력)
1896년
2월 11일
이완용
을미사변
순종
아관파천
왕태자비 민씨
김홍집
유길준
정병하
조희연
김홍집 내각
경운궁
1896년
9월 29일
이채연
독립문
독립협회
서울광장
탑골공원
선글라스
환구단
아관파천
러시아
1897년
경운궁
환구단
대한제국
광무
단군
기자
고려
마한
진한
변한
삼한
태조
말갈
탐라국
광무
종묘
대한제국
독립 협회
입헌군주제
황국협회
1899년
노면전차
윤웅렬
유길준
윤치호
광무개혁
광무개혁
전제군주권
대한국 국제
원수부
입헌군주제
독립협회
조병식
한청통상조약
1900년
파리
만국박람회
만국우편연합
울릉도
독도
울도군
1902년
간도
이범윤
양지아문
1901년
지계아문
지계
에디슨
전차
1898년
8월 2일
김홍륙
커피
아편
순종
틀니
김홍륙
1898년
10월 10일
교수
국왕
이준용
이준용
동학 농민군
흥선대원군
어용선
참봉
박영효
어용선
대통령제
1900년
안경수
권형진
7월
을미사변
김성근
신기선
조병식
윤용선
6월 3일
궁내부
협판
궁내부
평리원
학부
1900년
6월 19일
이하영
6월 20일
이하영
영친왕
순헌황귀비 엄씨
귀인 엄씨
명성황후
4월
유길준
권동진
조중응
궁내부
이재순
흥친왕
엄상궁
의친왕
러일전쟁
1904년
2월 8일
일본군
인천
마산
원산
서울
덕수궁
한일 의정서
1904년
2월 23일
대한제국
일본군
제1차 한일 협약
1904년
8월 22일
고문정치
대한제국군
1905년
4월 16일
대한제국 친위대
시위대
진위대
화폐정리사업
1905년
1909년
을사늑약
1905년
11월 17일
외교권
통감부
통감
고종 양위 사건
1907년
7월 24일
고종
순종
정미 7조약
1907년
7월 24일
대한제국군 해산
1907년
8월 1일
시위대
진위대
남대문 전투
정미의병
기유각서
1909년
7월 12일
일본 제국
남한 대토벌 작전
1909년
9월 1일
의병
만주
한일약정각서
1910년
6월 24일
일본 제국
한일 병합 조약
경술국치
1910년
8월 29일
대한제국
일본 제국
식민지
일제 강점기
1900년
9월 27일
노백린
어담
1902년
제국익문사
1903년
1903년
3월 15일
을사조약
1907년
군대가 해산
1903년
8월 15일
1904년
1월 23일
2월 23일
한일의정서
을사조약
1905년
11월 9일
이토 히로부미
11월 10일
고종
1905년
11월 15일
고종
하야시 곤스케
대한제국
고종
하야시 곤스케
11월 11일
박제순
심상훈
11월 17일
경운궁
고종
한규설
민영기
이하영
이완용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
을사오적
이재극
박제순
하야시 곤스케
조선 통감
이토 히로부미
중명전
을사조약
을사늑약
덕수궁
중명전
장지연
황성신문
시일야방성대곡
민영환
윤치호
갑오경장
고종실록
윤치호
12월
한성부
을사조약
강원도
삼척군
울진군
1906년
1월 29일
1906년
6월 22일
호머 헐버트
1906년
6월 22일
1907년
4월 20일
이상설
대한민국
을사조약
대한민국
1965년
한일기본조약
명지대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이준
이상설
이위종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 양위 사건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이준
이상설
이위종
호머 헐버트
일본
1907년
한일신협약
대한제국 군대해산
정미의병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1912년
임병찬
대한독립의군부
1919년
1월 21일
덕수궁
함녕전
3 · 1 운동
홍릉
고종 독살설
한진창
한진창
윤치호
1919년
윤치호
고종 독살설
이왕세자
나시모토 공주
왕세자
일본
공주
병합
윤치호일기
1919년
1월 26일
윤치호
윤치호
한진창
민영달
한진창
민영휘
궁내성
1919년
파리강화회의
데라우치 총독
하세가와 요시미치
을사늑약
데라우치 마사다케
하세가와 요시미치
윤덕영
민병석
1852년
9월 8일
조선
한성부
운현궁
1919년
1월 21일
일제 강점기
경성부
덕수궁
함녕전
흥선대원군 § 가족 관계
문조 익황제
전주
순조 숙황제
순원숙황후
신정익황후
풍양
조만영
은진 송씨
남연군
여흥 민씨
흥선대원군
여흥부대부인
여흥
민치구
전주 이씨
명성태황후
여흥
1851년
11월 17일
음력 9월 25일
1895년
10월 8일
음력 8월 20일
민치록
한산 이씨
을미사변
광무
영월
1854년
2월 2일
1911년
7월 20일
엄진삼
밀양 박씨
영친왕
순헌황귀비
영보당 귀인 이씨
1849년
1928년
12월 17일
완화군
귀인 장씨
덕수
1838년
10월 12일
1887년
10월 14일
전주 이씨
의친왕
내안당 귀인 이씨
1847년
1914년
2월 13일
보현당 귀인 정씨
해주
1882년
2월 23일
1943년
충주
1882년
9월 27일
1929년
5월 30일
덕혜옹주
복녕당 귀인 양씨
광화당 귀인 이씨
1885년
1967년
11월 10일
삼축당 김씨
안동
1890년
1970년
9월 23일
정화당 김씨
광산
완친왕
1868년
5월 31일
1880년
1월 12일
쇄항증
1874년
3월 25일
음력 2월 8일
1926년
4월 25일
순명효황후
순종 효황제
순정효황후
1877년
3월 30일
1955년
8월 16일
의친왕
의친왕비
1897년
10월 20일
1970년
5월 1일
의민황태자
의민황태자비
1914년
7월 3일
1916년
1월 22일
왕자 이육
1915년
8월 20일
1916년
7월 25일
왕자 이우
1912년
5월 25일
1989년
4월 21일
덕혜옹주
소 다케유키
경기전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승정원일기
정치
마르티나 도이힐러
데니
이홍장
헐버트
1895년
한성신문
을미사변
1936년
1939년
조선사편수회
외교
제정 러시아
일본
1903년
8월 15일
러시아
황성
개화파
독립협회
1896년
10월
아관파천
일본
대한제국
잡지
편집자
교육
한문
한글
정치
진보
동양
서양
교육
종교
로마 가톨릭교회
1883년
위안 스카이
미국
1905년
을사조약
11월 25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흥선대원군
명성황후
일본 제국
러시아 제국
윤치호
윤치호
영국
찰스 1세
윤치호
윤치호 일기
조선
유교
흥선대원군
유교
고종 암약설
윤치호
윤치호
해링턴
어의
개신교회
선교사
호러스 뉴턴 알렌
톨레도
1903년
10월 14일
일기
1903년
10월 14일
1885년
2월 3일
화요일
1884년
진보
1886년
9월 11일
토요일
일기
영국
이사벨라 버드 비숍
개신교
언더우드
경복궁
조선
고종 암약설
상해 임시 정부 § 의의
을사조약
한일 병합 조약
한일 병합
이왕가
일본 제국
메이지 천황
황현
황현
매천야록
내수사
호조
선혜청
대원군
황현
매천야록
민영환
광무개혁
공명첩
매천야록
1852년
9월 8일
한성부
운현궁
흥선군
여흥 민씨
1863년
익종
1865년
경복궁 중건
1866년
민치록
명성황후
병인박해
제너럴 셔먼호 사건
병인양요
1868년
오페르트
남연군
남연군묘 도굴 미수 사건
1871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
신미양요
1873년
흥선대원군
1875년
운요호
강화도
운요호 사건
1876년
강화도 조약
부산
원산
인천
부산항
수신사
1880년
통리기무아문
원산 개항
1881년
별기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임오군란
제물포 조약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1883년
인천항
박문국
1884년
갑신정변
1885년
영국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
1886년
노비
신분 세습
육영공원
이화학당
천주교
1887년
1889년
방곡령 사건
1894년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갑오개혁
1895년
교육입국조서
제3차 김홍집 내각
명성황후 암살 사건
단발령
의병들이 봉기
1896년
러시아 공사관으로 도피
23부
13도
1897년
대한제국
광무
1898년
여흥부대부인
흥선대원군
독립협회
전화
1899년
대한국 국제
경인선
1900년
울릉도
독도
울도군
1904년
러일전쟁
한일의정서
제1차 한일협약
고문정치
1905년
경부선
제2차 한일협약
을사의병
1907년
헤이그에 특사 파견
일본에 의해 강제 퇴위
정미조약
군대가 해산
1910년
한일병합조약
1919년
1월 21일
덕수궁
개국 (조선)
건양
광무 (연호)
1896년
1월 1일
태양력
1864년
1865년
1866년
1867년
1868년
1869년
1870년
1871년
1872년
1873년
1874년
1875년
1876년
1877년
1878년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1879년
1880년
1881년
1882년
1883년
1884년
1885년
1886년
1887년
1888년
1889년
1890년
1891년
1892년
1893년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개국
건양
광무
융희
1894년
1895년
1896년
1897년
1898년
1899년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신축진연도병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김승호
1959년
남궁원
1964년
청일전쟁과 여걸민비
허선행
2004년
도마 안중근
김상중
2006년
한반도
김영민
2009년
불꽃처럼 나비처럼
조재현
2010년
인플루언스
박희순
2012년
가비
조용진
함원진
2015년
도리화가
백윤식
2016년
덕혜옹주
대원군
MBC
1972년
송재호
민비
MBC
1973년
정욱
대한국인
KBS
1979년
송재호
의친왕
MBC
1980년
정욱
이심의 비련기
MBC
1981년
길용우
풍운
KBS
1982년
박칠용
안정훈
MBC
1982년
황치훈
MBC
1982년
길용우
MBC
1982년
길용우
이용익
MBC
1982년
정욱
독립문
KBS
1984년
박칠용
조선총독부
MBC
1984년
이호재
임이여 임일레라
KBS
1986년
박칠용
초혼가
KBS
1986년
박칠용
이화
KBS
1987년
남일우
사로잡힌 영혼
KBS
1988년
신구
바람과 구름과 비
KBS
1989년
1990년
선우재덕
대원군
MBC
1990년
왕조의 세월
KBS
1990년
김세윤
찬란한 여명
KBS
1995년
1996년
조재현
안중근
SBS
1996년
박칠용
명성황후
KBS
2001년
2002년
이진우
이인
제중원
SBS
2010년
최종환
자유인 이회영
KBS
2010년
송용태
닥터 진
MBC
2012년
이형석
조선총잡이
KBS
2014년
이민우
미스터 션샤인
tvN
2018년
이승준
강이석
녹두꽃
SBS
2019년
이찬영
바람과 구름과 비
TV조선
2020년
박상훈
국수호
1994년
조성하
2007년
강신일
2010년
명성황후
서울예술단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김민진
유길준
흥선대원군
ISBN
ISBN
조선일보
효종
인평대군
사도세자
은신군
민승호
민승호 일가 암살사건
순종실록부록
덕수궁
귀비 엄씨
동아일보
순종
순종실록부록
귀인 이씨
조선일보
덕혜옹주
복녕당 양씨
유암
경향신문
조선일보
세브란스병원
홍유릉
순종실록부록
이육
궁인 이씨
순종실록부록
이우
궁인 정씨
고종실록
개국
이인화
살림
대한제국
원구단
철종
익종
헌종
순조
헤이그 밀사 사건
조선왕조실록
조선 왕 가계도
고종 암약설
호머 헐버트
을사 조약
칭제건원
명성황후
영보당 귀인 이씨
아관파천
민겸호
민태호
민승호
귀인 장씨
흥선대원군
흥인군
이재면
윤치호
을미사변
갑오경장
을미경장
임오군란
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건양
갑신정변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이완용
단발령
동학농민운동
운요호 사건
경술국치
민치구
이승만
김규식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ISBN
ISBN
ISBN
위키미디어 공용
제26대 조선 국왕
철종
1863년
12월 8일
1897년
제1대 대한제국의 황제
1897년
1907년
순종 융희제